펠릭스 멘델스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펠릭스 멘델스존은 1809년 함부르크에서 태어난 독일의 작곡가, 피아니스트, 지휘자이다. 부유한 유대인 집안에서 태어나 음악적 재능을 일찍부터 보였으며, 할아버지 모제스 멘델스존은 유명한 철학자였다. 그는 낭만주의 시대를 대표하는 음악가 중 한 명으로, 바이올린 협주곡, 무언가곡, 한여름 밤의 꿈 서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남겼다. 멘델스존은 바흐의 음악을 부활시키는 데 기여했으며, 라이프치히 음악원을 설립하여 교육에도 힘썼다. 그의 음악은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반유대주의, 보수적인 성향과 같은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멘델스존가 -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
19세기 독일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는 해석학과 정수론에 공헌했으며, 디리클레 등차수열 정리 증명, 푸리에 급수 수렴성 증명,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증명 등으로 유명하고 그의 이름을 딴 다양한 수학적 개념과 정리들이 존재한다. - 멘델스존가 - 카를 빌헬름 프리드리히 슐레겔
카를 빌헬름 프리드리히 폰 슐레겔은 독일의 작가, 문학 평론가, 철학자이자 비교언어학자로서, 형 아우구스트 빌헬름 슐레겔과 함께 초기 낭만주의를 이끌었으며, 산스크리트어와 유럽 언어 간의 유사성을 발견하고 소설 《루친데》를 통해 낭만주의적 사랑관을 표현했다. - 펠릭스 멘델스존 - 이그나츠 모셸레스
보헤미아 출신 피아니스트, 작곡가이자 교육자인 이그나츠 모셸레스는 베토벤의 영향을 받아 음악가로 활동을 시작, 런던에서 연주자와 교육자로 명성을 얻었으며 멘델스존의 음악적 성장을 돕고 라이프치히 음악원 원장으로 후진 양성에 힘썼고, 고전주의와 낭만주의를 융합한 작품과 피아노 교육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는다. - 펠릭스 멘델스존 - 모제스 멘델스존
모제스 멘델스존은 18세기 독일 유대인 계몽주의 철학자로, 독학으로 다양한 학문을 섭렵하고 레싱과의 교류를 통해 계몽 사상을 수용하여 유대인의 시민권 획득과 신앙의 자유를 옹호하며 《예루살렘》을 통해 양심의 자유를 역설했다. -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이탈리아 출신 지휘자 아르투로 토스카니니는 첼로 연주자로 시작해 갑작스러운 지휘 데뷔 후 이탈리아와 미국에서 활동하며 베르디, 베토벤, 브람스, 바그너 작품 해석으로 명성을 얻었고, 악보에 충실한 연주 추구와 파시즘 반대 행보로 예술가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본보기가 되었다. -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 쿠르트 마주어
쿠르트 마주어는 독일의 지휘자이며,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 뉴욕 필하모닉 등 유수의 오케스트라를 지휘했으며, 1989년 동독 반정부 시위에 참여하기도 했다.
펠릭스 멘델스존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야코프 루트비히 펠릭스 멘델스존 바르톨디 |
로마자 표기 | Jakob Ludwig Felix Mendelssohn Bartholdy |
출생일 | 1809년 2월 3일 |
출생지 | 함부르크 |
사망일 | 1847년 11월 4일 |
사망지 | 라이프치히 |
직업 | 작곡가 피아니스트 오르가니스트 지휘자 |
활동 시기 | 1826년 - 1847년 |
![]() | |
음악 스타일 | |
장르 | 낭만파 음악 |
악기 | |
연주 악기 | 오르간 피아노 |
영향 | |
영향 | # 정보가 없는 경우 생략 |
주요 작품 | |
작품 목록 | 작품 목록 |
2. 생애
펠릭스 멘델스존은 부유한 유대인 가문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 모제스 멘델스존은 유명한 철학자였고, 아버지 아브라함 멘델스존 바르톨디는 은행가였으며, 어머니 레아 멘델스존 바르톨디는 제조업 가문 출신이었다.
1804년 아브라함과 레아는 결혼하여 베를린에서 함부르크로 이주했다. 1805년에 태어난 펠릭스의 누나 파니 멘델스존은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 다른 남매로는 1811년생인 레베카 디리흘레트, 1812년생인 파울 멘델스존이 있다. 아브라함 멘델스존의 모든 자녀들은 1816년 3월 21일에 개신교 목사로부터 개신교 가정 세례를 받았고, 펠릭스는 야코프 루트비히라는 세례명을 받았다.[33]
멘델스존은 여러 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했으며, 독일어, 라틴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영어를 할 수 있었다. 또한 시와 그림에도 관심을 가져 많은 수채화 작품을 남겼다. 이러한 재능은 평생 동안 그 자신과 친구들을 위해 발휘되었다.[54] 현재, 이 수채화들은 라이프치히의 멘델스존 기념관[55]에 전시되어 있다.
1844년 여름, 멘델스존은 8번째 영국 방문에서 런던에서 다섯 개의 필 하모닉 콘서트를 진행했다. 그는 레베카 멘델스존 바르톨디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번 시즌은 이전과 다름없이 바빴다. 3주 전에 이미 모든 날의 약속이 찼고, 남은 2개월 동안 더 많은 음악을 들을 수 있었다."라고 썼다. 계속되는 방문에서 멘델스존은 빅토리아 여왕과 남편 앨버트 왕자를 만났는데, 앨버트 공은 멘델스존의 음악을 크게 존경했다.
멘델스존의 오라토리오 엘리야는 버밍엄 트리엔날레 뮤직 페스티벌의 초청으로 1846년 8월 26일 버밍엄 타운 홀에서 초연되었다. 이 곡은 윌리엄 바돌로매에 의해 영어로 번역된 독일어 텍스트로 구성되었다. 1847년 영국을 마지막으로 방문한 멘델스존은 베토벤의 피아노 협주곡 4번 솔로 연주자였으며, 오케스트라와 협연하여 스코틀랜드 교향곡을 연주했다.
멘델스존은 1837년 3월 28일 프랑스 개신교 성직자의 딸인 세실 샬롯 소피 장르노와 결혼했다.[61] 두 사람 사이에는 카를, 마리, 파울, 릴리, 펠릭스 다섯 명의 자녀가 있었다.
2. 1. 유년 시절
펠릭스 멘델스존은 1809년 2월 3일 함부르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은행가 아브라함 멘델스존 바르톨디였고, 할아버지는 저명한 유대인 철학자 모세스 멘델스존이었다.[31] 어머니 레아 멘델스존 바르톨디는 이치그 가문 출신으로 야코프 살로몬 바르톨디의 누이였다.[31] 멘델스존은 네 자녀 중 둘째였으며, 누나 파니 멘델스존 역시 뛰어난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31]1811년, 가족은 베를린으로 이주했다.[31] 아브라함과 레아 멘델스존은 자녀들에게 최고의 교육을 제공하고자 했으며, 펠릭스는 지적인 환경에서 성장했다. 베를린의 멘델스존 집에는 빌헬름 폰 훔볼트, 알렉산더 폰 훔볼트 형제,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장 디리클레 등 당대 저명한 인사들이 자주 방문했다.[31]
멘델스존은 신동으로 알려져 있었으며, 여섯 살 때 어머니에게서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고, 일곱 살에는 파리에서 마리 비고에게서 수업을 받았다.[34] 베를린으로 이주한 후에는 루트비히 베르거에게서 피아노를 배웠고,[34] 1819년 5월부터는 카를 프리드리히 첼터에게 대위법을 배웠다.[34] 첼터는 멘델스존에게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음악을 소개해주었고, 이는 멘델스존의 음악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아브라함 멘델스존은 펠릭스가 태어나기 전에 유대교를 버렸고, 펠릭스와 그의 형제자매들은 처음에는 종교 교육 없이 자랐다. 1816년 3월 21일, 그들은 베를린에서 개신교 목사에게 비밀리에 세례를 받았고, 펠릭스는 야코프 루트비히라는 세례명을 받았다.[31] 1822년에는 아브라함과 레아도 세례를 받고 멘델스존 바르톨디라는 성을 공식적으로 사용했다.[31] 바르톨디라는 이름은 레아의 형제인 야코프 살로몬 바르톨디의 제안으로 추가되었다.[31]
2. 2. 청년 시절
펠릭스 멘델스존은 부유한 유대인 가문에서 태어났다. 할아버지는 저명한 철학자 모제스 멘델스존이며, 아버지는 은행가, 어머니는 제조업 가문 출신이었다. 1804년 부모가 결혼 후 함부르크로 이주했고, 1805년에 누나 파니 멘델스존이 태어났다. 파니는 음악적 재능을 보였다. 다른 형제자매로는 레베카, 파울이 있다. 1816년, 멘델스존을 포함한 모든 자녀들이 개신교 세례를 받았고, 이때 펠릭스는 야코프 루트비히라는 세례명을 받았다.[33]멘델스존은 신동으로 알려졌다. 1815년(6세) 어머니에게서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고, 1817년(8세) 파리에서 마리 비고에게서 수업을 받았다.[34] 베를린으로 이주한 후에는 루트비히 베르거에게서 피아노를 배웠다. 1819년에는 누나 파니와 함께 카를 프리드리히 첼터에게 대위법을 배웠는데, 이는 멘델스존의 음악 경력에 큰 영향을 주었다. 첼터는 베를린 징가카데미의 지휘자로, 바로크와 초기 고전파 전통, 특히 바흐의 음악을 존경했다. 멘델스존의 작품에 나타나는 푸가와 코랄은 바흐의 영향으로 보인다.[18]
1821년(12세) 첼터의 소개로 괴테를 방문하여 2주 정도 머물렀다. 1823년(14세) 외할머니에게서 바흐의 「마태 수난곡」 필사 악보를 크리스마스 선물로 받았다. 1825년(16세) 아버지와 함께 파리에 가서 케루비니, 훔멜, 모셸레스, 로시니, 마이어베어 등과 교류했다. 1826년(17세) 셰익스피어의 희곡을 소재로 한 「한여름밤의 꿈 서곡」을 작곡했다.
1829년 (20세) 3월 11일, 멘델스존은 바흐 사후 처음으로 「마태 수난곡」을 공개 연주했다. 베를린 징가카데미홀에서 열린 공연은 대성공이었고, 3월 21일에 두 번째 연주회가 열렸다.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 철학자 헤겔, 사상가 프리드리히 슐라이어마허, 시인 하이네 등이 공연을 관람했다.[33]
멘델스존의 가족은 유대교에서 개신교 루터교로 개종했다. 그는 "바르톨디"라는 성을 사용했지만, 자신은 멘델스존 성을 선호했다. 그는 독실한 기독교인이었지만, 유대인이라는 의식도 가지고 있었다.[39]
2. 3. 전성기
멘델스존은 여섯 살 때 어머니에게서 피아노 레슨을 받기 시작했고, 일곱 살 때는 파리에서 마리 비고에게 사사받았다.[34] 이후 베를린에서 멘델스존 네 형제자매는 무치오 클레멘티의 제자였던 루트비히 베르거에게 피아노를 배웠다. 1819년 5월부터 멘델스존은 (처음에는 누이인 파니와 함께) 베를린에서 카를 프리드리히 첼터에게 대위법과 작곡을 배웠다. 이것은 그의 미래 경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첼터는 그의 숙모인 사라 레비의 추천으로 선생님이 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사라 레비는 빌헬름 프리데만 바흐의 제자이자 카를 필립 에마누엘 바흐의 후원자였다.사라 레비는 건반 연주자로서 어느 정도 재능을 보였고, 종종 베를린 징아카데미의 첼터 오케스트라와 함께 연주했다. 그녀와 멘델스존 가족은 그곳의 주요 후원자 중 한 명이었다. 사라는 바흐 가족 악보의 중요한 컬렉션을 만들었고, 그것을 징아카데미에 유증했다. 음악 취향이 보수적인 첼터 또한 바흐 전통을 존경했다. 이것은 멘델스존의 음악적 취향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이 분명하며, 그의 작품은 바로크와 초기 고전 음악에 대한 이러한 연구를 반영한다. 그의 푸가와 코랄은 특히 요한 세바스찬 바흐를 연상시키는 음조의 명료성과 대위법의 사용을 반영하는데, 바흐의 음악은 그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다.
2. 4. 말년과 죽음
멘델스존은 말년에 신경계 문제와 과로로 건강이 악화되었다. 잉글랜드로의 마지막 여행은 그를 지치고 병들게 했으며, 1847년 5월 14일 친누나 파니의 사망으로 정신적 고통이 가중되었다.[2] 11월 4일 멘델스존은 뇌졸중으로 라이프치히에서 사망했다.[2]1847년 5월, 영국 방문 중 누이 파니의 사망 소식을 접한 멘델스존은 슬픔에 잠겨 신경 장애를 일으켰다. 일시적으로 회복되었지만, 11월 3일 의식을 잃고 다음 날 라이프치히에서 사망했다.[2] 멘델스존과 그의 아버지 아브라함, 누이 파니가 모두 젊은 나이에 갑작스럽게 사망한 것으로 보아, 어떤 유전적인 요인이 있었을 것이라는 추측도 있다.
3. 주요 작품
멘델스존은 평생 작곡과 연주 활동을 꾸준히 이어갔다. 슈베르트와 달리 생활고 없이 재능을 발휘하여 명쾌하고 아름다운 음악을 남겼다.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베토벤, 브람스의 곡과 함께 3대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손꼽힌다.[90] 바흐의 고전 음악 연구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바흐를 세상에 다시 알린 공로 또한 크다.[90] 낭만파의 선구자이자 신고전파의 길을 제시한 인물로,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90]
그는 신동으로 알려져, 여섯 살 때 어머니에게서 피아노를 배우기 시작했고, 일곱 살 때는 파리에서 마리 비고에게서 수업을 받았다.[34] 베를린으로 이주한 후에는 루트비히 베르거에게서 피아노를 배웠다.[34] 1819년 펠릭스와 그의 누이 파니는 카를 프리드리히 첼터에게 대위법을 배웠는데, 이는 그의 경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34] 첼터는 바흐 가문과 그들의 음악 전통을 존경했으며, 이는 펠릭스의 음악 취향에 큰 영향을 주었다.[34] 그의 작품에는 바로크 음악과 초기 고전파 음악을 연구한 흔적이 있으며, 특히 푸가와 코랄에는 바흐의 영향이 나타난다.[34]
1821년 첼터는 멘델스존을 요한 볼프강 폰 괴테에게 소개했다. 괴테는 멘델스존의 즉흥 연주와 악보를 보고 연주하는 능력에 깊은 인상을 받았다.[34] 멘델스존은 괴테의 시 여러 편에 음악을 붙였으며, 괴테에게서 영감을 받은 작품으로는 서곡 ''바다의 고요와 행복한 항해''(작품번호 27, 1828년)와 칸타타 ''디 에르슈테 발푸르기스나흐트''(작품번호 60, 1832년)가 있다.
1829년 멘델스존은 바흐의 ''마태 수난곡'' 공연을 기획하고 지휘했다. 이 공연은 바흐 사후 매우 드물게 열린 공연 중 하나였으며, 독일 전역과 유럽 전역에서 바흐 음악 부흥의 중심적인 사건이 되었다.[38] 이 공연으로 멘델스존은 20세의 나이에 널리 찬사를 받았다.
1835년 멘델스존은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관현악단의 지휘자로 임명되었다.[48] 그는 이 관현악단, 오페라하우스, 토마스 교회 소년 합창단 등과 협력하면서 라이프치히의 음악 수준 향상에 집중했다. 그는 자신의 작품 외에도 동시대 작곡가들의 작품을 연주회에서 다루었다.
1843년 멘델스존은 라이프치히 음악원을 설립했다. 그는 이그나츠 모셸레스, 로베르트 슈만 등을 강사로 초빙했으며, 페르디난트 다비드, 요제프 요아힘 등도 교원으로 참여했다.[49]
멘델스존은 성경에서 영감을 받아 두 개의 대규모 오라토리오를 작곡했다. 1836년에 작곡된 《성 바울》과 1846년에 작곡된 《엘리야》는 바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페르디난트 다비드를 위해 작곡된 바이올린 협주곡 마단조 Op. 64(1844년)는 멘델스존의 작품 중 가장 인기 있는 곡 중 하나로, 오늘날에도 3대 바이올린 협주곡 중 하나로 꼽힌다.
멘델스존의 「무언가(Lieder ohne Worte)」은 각 6곡씩 총 8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그중 2집은 유작임), 그의 피아노곡 중 가장 유명하다.
3. 1. 오페라
멘델스존은 어릴 적에 가정에서 연주하기 위한 징슈필(Singspiel) 몇몇 작품을 작곡했다. 15세 생일에는 오페라 「보스턴에서 온 삼촌, 또는 두 명의 조카(Die beiden Neffen)」의 리허설이 진행되었다.[68] 1829년에는 부모님의 결혼기념일을 위해 「타향에서의 귀환(Die Heimkehr aus der Fremde)」을 작곡했으나, 생전에는 출판되지 않았다.1825년에 작곡된 「카마초의 결혼(Die Hochzeit des Camacho)」은 돈키호테의 에피소드를 바탕으로 한층 더 세련된 작품으로, 일반 공연을 위해 쓰였다. 1827년 베를린에서 상연되었으나 반응은 냉담했다. 멘델스존은 초연의 막이 내리기 전에 극장을 떠났고, 이후 공연은 취소되었다.
멘델스존은 오페라 제작에 대한 의지를 버리지 않고, 바그너가 다루게 되는 「니벨룽의 반지」를 포함한 다양한 소재를 구상했다. 그러나 어떤 계획도 몇 페이지의 스케치를 넘어서지 못했다. 말년에 오페라 기획자 벤저민 럼리(Benjamin Lumley)[69]는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를 외젠 스크리브의 대본으로 작곡할 것을 제안했고, 멘델스존이 사망한 1847년에도 그 작품이 완성 직전이라고 발표했다. 최종적으로 대본은 자크 알레비의 것이 되었다. 멘델스존은 사망 당시 로렐라이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 오페라의 스케치를 약간 남겼다.
3. 2. 교향곡
- 1번 다단조 작품번호 11 (1824)
- 2번 내림 나장조 작품번호 52 (1840)
- 3번 가단조 ‘스코틀랜드’ 작품번호 56 (1829~42)
- 4번 가장조 ‘이탈리아’ 작품번호 90 (1833)
- 5번 라조 ‘종교개혁’ 작품번호 107 (1830)
3. 3. 관현악 서곡
멘델스존은 여러 편의 관현악 서곡을 작곡했다. 그중 자주 연주되는 작품은 다음과 같다.제목 | 작품 번호 | 작곡 연도 | 비고 |
---|---|---|---|
트럼펫 서곡 다장조 | 10 | 1826 | |
헤브라이스 제도(핀갈의 동굴) 서곡 나단조 | 26 | 1830 | 1820년대 후반 스코틀랜드 방문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 헤브리디즈 제도와 스타파 섬의 핀갈의 동굴 방문. |
고요한 바다와 즐거운 항해 서곡 라장조 | 27 | 1832 |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시 바다의 고요와 행복한 항해를 소재로 함. |
아름다운 멜뤼진 서곡 바장조 | 32 | 1834 | |
뤼이 블라스 서곡 다단조 | 95 | 1839 | 빅토르 위고의 희곡 뤼이 블라스의 자선 공연을 위해 작곡. 멘델스존은 이 희곡을 싫어했음. |
3. 4. 부수음악
Bühnenmusik|뷔넨무지크de (부수음악)- 한여름 밤의 꿈 (서곡: 1826, 나머지: 1842)[6]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프로이센 왕국의 왕위에 오른 후 베를린을 문화 중심지로 만들고자 했다. 그는 음악학교 신설과 교회 음악 개혁 등을 포함한 개혁을 추진했으며, 멘델스존을 이 개혁의 선두에 세우려 했다. 그러나 멘델스존은 라이프치히에서의 확고한 지위 때문에 이 제안에 적극적이지 않았다.[48]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일시적으로 베를린에 머물며 교회 음악을 작곡하거나, 프로이센 국왕의 요청에 따라 소포클레스의 안티고네(1841년)와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1845년), 셰익스피어의 한여름 밤의 꿈(1843년), 장 라신의 아탈리(1845년)에 부수음악을 작곡했다.[49]
3. 5. 협주곡
페르디난트 다비드를 위해 작곡된 바이올린 협주곡 마단조 Op. 64(1844년)는 멘델스존의 작품 중 가장 인기 있는 곡 중 하나로, 오늘날에도 3대 바이올린 협주곡 중 하나로 꼽힌다. 다비드는 멘델스존이 이 곡을 작업하는 동안 가까이서 일했으며, 자신이 소유한 과르네리 바이올린으로 이 협주곡 초연의 독주자를 맡았다.[50]
멘델스존은 덜 알려진 바이올린 협주곡 라단조(1822년)도 작곡했다. 피아노 협주곡으로는 제0번 가단조(1822년), 제1번 사단조 Op. 25(1831년), 제2번 라단조 Op. 40(1837년), 제3번 마단조(미완성, 단편만 남음, 1844년)가 있다.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협주곡으로는 15세에 작곡한 내림가장조 MWV O5와 17세에 작곡한 마장조 MWV O6가 있다. 바이올린, 피아노와 현악기를 위한 협주곡 라단조(1823년)도 있다. 단악장 피아노 협주곡 형식의 작품으로는 "화려한 론도 내림마장조 Op. 29"(1834년), "화려한 기상곡 나장조 Op. 22"(1832년), "세레나데와 알레그로 조코소 나단조 Op. 43"(1838년)이 있다. 콘체르티노(소협주곡)로는 클라리넷, 바셋호른, 피아노를 위해 작곡된 Op. 113과 Op. 114가 있으며, Op. 113에는 작곡가 자신의 관현악 편곡판이 있다.[35]
3. 5. 1. 피아노 협주곡
- 피아노 협주곡 0번 가단조 (1822)
- 피아노 협주곡 1번 사단조 작품번호 25 (1831)
- 피아노 협주곡 2번 라단조 작품번호 40 (1837)
- 피아노 협주곡 3번 마단조 (단편, 1844)
- 화려한 기상곡 나조 작품번호 22 (1826)
- 화려한 론도 내림 마장조 작품번호 29 (1834)
- 화려한 멘델스존 판타지
3. 5. 2. 바이올린 협주곡
페르디난트 다비드를 위해 작곡된 바이올린 협주곡 마단조 작품번호 64(1844)는 멘델스존의 작품 중 가장 인기 있는 곡 중 하나이다. 오늘날에도 3대 바이올린 협주곡 중 하나로 꼽힌다. 다비드는 멘델스존이 이 곡을 작업하는 동안 가까이서 일했으며, 자신이 소유한 과르네리 바이올린으로 이 협주곡 초연의 독주자를 맡았다.[50]멘델스존은 덜 알려진 바이올린 협주곡 라단조(1822)도 작곡했다.
3. 5. 3. 바이올린과 피아노
멘델스존은 1823년에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이중 협주곡 라단조를 작곡했다.3. 5. 4. 두 대의 피아노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두 대의 피아노' 섹션에 포함될 내용이 없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는 점을 명시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전 답변에서 이 점을 명확히 했으므로, 수정할 내용은 없다.3. 6. 실내악
멘델스존은 어린 시절부터 실내악 작곡에 참여했다. 9세 때 호른 이중주곡 연주회에 참여했고, 12세에서 14세 사이에는 사설 오케스트라를 위해 12곡의 현악 교향곡을 작곡하기도 했다. 16세에는 그의 역량을 보여준 최초의 작품으로 평가받는 현악 8중주 변마장조 Op.20을 작곡했다.[36]3. 6. 1. 현악 4중주
- 12개의 푸가 (1821)
- 내림 마장조 (1823)
- 1번 내림 마장조 작품번호 12 (1829)
- 2번 가단조 작품번호 13 (1827)
- 3번 라장조 작품번호 44-1 (1838)
- 4번 마단조 작품번호 44-2 (1837)
- 5번 내림 마장조 작품번호 44-3 (1838)
- 6번 바단조 작품번호 80 (1847)
- 4개의 소품 작품번호 81 (1843~7)
3. 6. 2. 피아노 3중주
제목 | 작곡 연도 |
---|---|
다단조 | 1820년 |
1번 라단조 작품번호 49 | 1839년 |
2번 다단조 작품번호 66 | 1845년 |
3. 6. 3. 현악 8중주
Oktett für Streicher Es-Dur op. 20de(1825)1825년에 작곡된 멘델스존의 현악 8중주곡은 그의 천재성이 조숙하게 드러난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이다.
3. 7. 피아노
멘델스존은 신동으로 알려져 있었는데, 여섯 살 때 어머니에게서 피아노 레슨을 받기 시작했고, 일곱 살 때는 파리에서 마리 비고에게 사사받았다.[34] 베를린으로 이주한 후에는 멘델스존 가의 네 아이들은 모두 무치오 클레멘티 문하의 루트비히 베르거에게서 피아노를 배웠다.그의 첫 번째 출판 작품은 세 개의 피아노 사중주곡(1822-1825)으로, 작품번호 1 C단조, 작품번호 2 F단조, 작품번호 3 B단조였다.[35]
3. 7. 1. 소나타
번호 | 조성 | 작품 번호 | 작곡 연도 |
---|---|---|---|
1번 | 마장조 | 작품번호 6 | 1825 |
2번 | 사단조 | 작품 사후 번호 105 | 1821 |
3번 | 내림 마장조 | 작품 사후 번호 106 | 1827 |
3. 7. 2. 무언가
멘델스존의 「무언가(Lieder ohne Worte)」은 각 6곡씩 총 8집으로 구성되어 있으며(그중 2집은 유작임), 그의 피아노곡 중 가장 유명하다. 이 곡집은 이미 그의 생전부터 소규모 연주회의 단골 레퍼토리였으며[11], 너무 인기가 많아져서 비평가들이 그 음악적 가치를 낮게 평가하게 되었다.[12] 멘델스존의 무언가에 영향을 받아 많은 작곡가들이 유사한 형식의 작품을 만들었다. 샤를-발랑탱 알캉(5집에 걸친 「가곡집」Op.57-1, 57-2, 65, 67, 70, 각각이 보트 노래로 끝남), 안톤 루빈슈타인, 모셰레스, 에드바르트 그리그 등이 그 예이다.각 권의 작품번호는 다음과 같다.
권 | 작품번호 | 작곡 연도 |
---|---|---|
제1권 | 작품번호 19b | 1829~30년 |
제2권 | 작품번호 30 | 1833~4년 |
제3권 | 작품번호 38 | 1836~7년 |
제4권 | 작품번호 53 | 1839~41년 |
제5권 | 작품번호 62 | 1842~4년 |
제6권 | 작품번호 67 | 1843~5년 |
제7권 | 작품번호 85 | 1834~45년 |
제8권 | 작품번호 102 | 1842~5년 |
3. 7. 3. 그 밖의 소품들
멘델스존의 다른 피아노곡으로는 엄격 변주곡(Op. 54, 1841년), 론도 카프리치오소 마조(Op. 14, 1830년), 6곡으로 구성된 여섯 개의 전주곡과 푸가(Op. 35, 1832~37년) 등이 있다. 피아노 소나타는 초기 작품을 포함해 여러 곡이 남아 있지만, 생전에 출판된 것은 피아노 소나타 제1번(작품 6, 1826년)뿐이며, 그 후에 작곡한 2곡(작품 105, 작품 106)은 사후에 출판되었다. 그 외에 변주곡(2곡 사후 출판) 등 절대 음악에 대한 출판은 신중한 편이었다.아래는 그 밖의 소품들을 정리한 표이다.
작품 번호 | 제목 | 작곡 연도 |
---|---|---|
Op. 14 | 론도 카프리치오소 마조 | 1830년 |
Op. 16 | 세 개의 환상곡 | 1829년 |
Op. 28 | 환상곡 올림 바단조 | 1833년 |
Op. 104a | 세 개의 전주곡 | 1834년 |
Op. 33 | 세 개의 카프리스 | 1834~35년 |
Op. 35 | 여섯 개의 전주곡과 푸가 | 1832~37년 |
Op. 118 | 카프리치오 마장조 | 1837년 |
Op. 54 | 엄격 변주곡 | 1841년 |
Op. 72 | 어린이 소품 | 1842년 |
Op. 104b | 세 개의 연습곡 | 1834~38년 |
3. 8. 합창
멘델스존은 합창 또는 합창과 오르간을 사용한 소규모 종교 음악 작품을 많이 남겼다. 대부분 영어로 쓰였거나 영어로 번역되었으며, 현재에도 인기가 높다. 그중 가장 유명한 것은 「」이며, 「오, 비둘기의 날개에(O for the Wings of a Dove)」를 포함한 2부는 독립된 곡으로도 인기가 있다. 이 곡은 혼성 합창, 오르간, 그리고 난해한 기교를 요구하는 긴 패시지를 가진 보이소프라노 또는 소프라노 독창을 위한 곡이다. 특히 교회나 성당의 소년 성가대원들 사이에서 유명하며, 보이소프라노 독창으로 녹음도 많이 되고 있다. 멘델스존의 전기 작가인 토드(Todd)는 "잉글랜드에서 이 성가의 인기가 바로 (중략) 후에 빅토리아 시대의 도덕관을 경멸적으로 보는 자들로부터 곡이 피상적이라는 비난을 받는 원인이 되는 것이다."라고 말했다.[12]윌리엄 하이먼 커밍스가 멘델스존의 칸타타 「」에서 따와 찰스 웨슬리의 찬송가 「천사들의 노래가」와 결합한 곡은 널리 불리고 있다. 이것은 원래 멘델스존이 종교곡에는 어울리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1840년대 세속적인 곡의 한 절에서 발췌한 것이지만[37], 크리스마스의 고전이 되었다.
3. 8. 1. 오라토리오
멘델스존은 성경에서 영감을 받아 두 개의 대규모 오라토리오를 작곡했다. 1836년에 작곡된 《성 바울》과 1846년에 작곡된 《엘리야》는 바흐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미완성 오라토리오 《그리스도(Christus)》는 레치타티보, 합창곡 'There Shall a Star Come out of Jacob', 그리고 남성 삼중창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합창곡은 자주 연주된다.[12]
3. 8. 2. 칸타타
멘델스존은 생전에 많은 칸타타를 작곡하지는 않았지만, 그의 작품 중에는 첫 번째 발푸르기스 밤 작품번호 60(1843)이 있다.3. 9. 가곡
멘델스존은 많은 가곡을 작곡했다. 주요 작품은 다음과 같다.작품 번호 | 제목 | 작곡 연도 | 비고 |
---|---|---|---|
19a | 6개의 노래 | 1830~1834 | |
34 | 6개의 노래 | 1834~1837 | 2번이 노래의 날개 위에 |
41 | 6개의 노래 | 1834~1838 | |
77 | 3개의 노래 | 1836 | |
47 | 6개의 노래 | 1839 | |
84 | 3개의 노래 | 1831~1839 | |
48 | 6개의 노래 | 1840 | |
50 | 6개의 노래 | 1837~1840 | |
57 | 6개의 노래 | 1839~1843 | 5번이 베네치아의 뱃노래(Venetianisches Gondelliedde) |
59 | 6개의 노래 | 1837~1843 | |
75 | 4개의 노래 | 1837~1844 | |
71 | 6개의 노래 | 1842~1847 | |
76 | 4개의 노래 | 1840~1847 | |
86 | 6개의 노래 | 1826~1847 | |
99 | 6개의 노래 | 1841~1845 |
4. 평가와 영향
멘델스존은 생전에 뛰어난 작곡가이자 연주자로 명성을 얻었지만, 사후에는 그의 음악적 성향과 유대인 출신이라는 배경 때문에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그의 음악은 슈베르트와 달리 생활고 없이 재능을 펼쳐 명쾌하고 아름다운 것이 특징이다. 낭만파의 선구자이자 신고전파의 길을 제시한 그는 베토벤, 브람스와 함께 3대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꼽히는 바이올린 협주곡을 작곡하는 등 음악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90] 또한 바흐를 세상에 알린 공로도 인정받는다.
하지만 멘델스존은 베를리오즈, 리스트 등 당대 다른 음악가들에 비해 보수적인 성향으로 인해 비판을 받기도 했다. 특히 바그너는 멘델스존의 성공과 유대인 출신이라는 점을 들어 노골적으로 비난했다. 니체는 멘델스존을 "사랑스러운 간주곡"이라 평하기도 했다.
나치 정권은 멘델스존의 유대인 혈통을 문제 삼아 그의 작품 연주와 출판을 금지하고, 제국음악원을 통해 그의 음악을 '퇴폐적'이라고 폄하했다. 라이프치히에 세워졌던 멘델스존 기념비는 1936년에 철거되었다가 2008년에 다시 세워졌다.[76]
반면 영국에서는 19세기 내내 멘델스존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이어졌다. 빅토리아 여왕은 크리스털 팰리스 재건 시 멘델스존의 동상을 세우도록 명했으며, 그의 "결혼행진곡"은 오늘날까지도 결혼식에서 널리 연주된다.
하지만 20세기 초 버나드 쇼 등 일부 비평가들은 멘델스존의 음악이 빅토리아 시대의 문화적 고립과 연관되어 있다고 비판했다.
4. 1. 긍정적 평가
그의 일생은 작곡과 연주의 연속이었다. 그는 슈베르트와 달리 생활의 고통 없이 뛰어난 재능을 발휘하여 명쾌하고 아름다운 음악을 만들었다. 그는 색채적이고 우아한 낭만적인 작품을 많이 남겼으며,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베토벤·브람스의 곡과 함께 3대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손꼽힌다.[90] 그는 바흐의 고전 음악 연구에서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바흐를 세상에 알린 공로가 크다. 그는 낭만파의 선구자이자 신고전파의 길을 제시하여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90]멘델스존의 두 대규모 성서적 오라토리오인 ''파울루스''(1836)와 ''엘리야''(1846)는 바흐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미완성 오라토리오 ''크리스투스''는 레치타티보, 합창 "야곱에게서 별이 나올 것이다", 남성 삼중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는 다르게 낭만적인 ''디 에르슈테 발푸르기스나흐트''(첫 번째 발푸르기스의 밤)는 괴테의 발라드를 바탕으로 한 합창과 오케스트라를 위한 작품으로, 초기 기독교 시대 하르츠 산맥 드루이드들의 이교 의식을 묘사한다. 학자 하인츠-클라우스 메츠거는 이 악보를 "기독교 지배에 대한 유대인의 저항"으로 해석했다.
멘델스존은 합창과 오케스트라를 위해 "시편"에서 다섯 편을 편곡했다. 슈만은 1837년에 멘델스존의 시편 42편이 "그가 교회 음악 작곡가로서 이룬 최고의 경지이자, 실제로 최근 교회 음악이 이룬 최고의 경지"라고 언급했다.[13]
멘델스존은 무반주 합창을 위한 소규모 성악곡도 많이 작곡했는데, 시편 100편 편곡, ''야우히체트 뎀 헤른, 알레 벨트'', 오르간 반주가 있는 합창곡 등이 있다. 대부분 영어로 작곡되거나 번역되었다. 가장 유명한 작품 중 하나는 ''내 기도를 들어주소서''인데, 후반부 "비둘기의 날개를 주소서"는 독립적인 작품으로 자주 연주되었다. 이 곡은 풀 합창, 오르간, 소프라노 독창자를 위한 곡이다. 멘델스존의 전기 작가 토드는 이 성가의 영국에서의 인기가 훗날 빅토리아 시대 도덕을 경멸하는 이들에게 비난받았다고 말한다.
찬송가 선율 "멘델스존"(윌리엄 헤이먼 커밍스 편곡)은 멘델스존의 칸타타 ''페스트게장''(축제 찬가)의 선율을 편곡한 것으로, 찰스 웨슬리의 유명한 크리스마스 찬송가 "보라! 천사들이 노래하네"의 표준 선율이 되었다. 멘델스존은 이 1840년대 세속 작품이 성악곡으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했다.
멘델스존은 피아노 반주가 있는 독창곡과 이중창곡을 포함하여 많은 가곡을 작곡했다. 그의 가장 유명한 가곡인 "Auf Flügeln des Gesanges"("날개 위의 노래")와 같은 일부 가곡은 인기를 얻었다. 학자 수전 유언스는 슈베르트가 멘델스존보다 더 많은 가곡을 작곡했기 때문에 감정의 폭이 더 넓었다고 언급하며, 슈베르트는 가곡 스타일을 현대화하려는 의도가 있었지만, 멘델스존은 그렇지 않았다고 말한다.
멘델스존의 누이 파니가 작곡한 여러 곡이 그의 이름으로 발표되기도 했다. 1842년, 빅토리아 여왕이 펠릭스에게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그의 가곡인 ''Italien''을 부르겠다고 했을 때, 펠릭스는 그것이 파니의 작품이라고 고백해야 했다.

20세기 중반 이후 멘델스존의 작품에 대한 평가는 여러 전기를 통해 그의 업적을 재조명하면서 발전해 왔다.[22] 머서-테일러(Mercer-Taylor)는 멘델스존 음악에 대한 광범위한 재평가가 음악 정전(canon) 개념의 붕괴로 가능해졌다는 역설에 주목하는데, 멘델스존은 지휘자, 피아니스트, 학자로서 그 개념을 확립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 비평가 H. L. 멘켄(Mencken)은 멘델스존이 진정한 위대함을 놓쳤다면 "간발의 차이"로 놓쳤다고 결론지었다.[23]
찰스 로젠은 1995년 저서 ''낭만주의 세대''에서 멘델스존을 "서양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신동"이라고 칭송하며, 16세의 그의 기량은 19세의 모차르트나 쇼팽을 능가했고, 어린 시절부터 대규모 구조 통제력을 지녔으며 베토벤을 "심오하게" 이해하는 "천재"였다고 평가했다. 로젠은 멘델스존이 후년에 기량이나 천재성을 잃지 않고도 "대담성을 포기했다"고 믿었지만, 비교적 늦게 작곡된 바이올린 협주곡 E 단조를 "고전 협주곡 전통과 낭만주의적인 비르투오조 형식의 가장 성공적인 종합"이라고 불렀다. 로젠은 "E 단조 푸가"를 "걸작"이라고 여겼지만, 멘델스존을 "음악에서 종교적 키치(kitsch)의 창시자"라고 부르기도 했다. 그는 멘델스존의 오라토리오에서 "종교와 음악의 결합"이 지닌 극적인 힘이 메이어베어와 베르디의 오페라와 바그너의 ''파르지팔''에서 다음 50년 동안의 음악 전반에 반영되는 방식을 지적했다.
1960년대에도 멘델스존의 750곡이 넘는 작품 중 상당 부분이 출판되지 않았지만, 이제는 대부분의 작품을 이용할 수 있다.[24] 멘델스존의 모든 작품과 서신에 대한 학술적인 판본이 준비 중이지만 완성까지는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며 150권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는 그의 작품에 대한 현대적이고 철저히 연구된 목록인 멘델스존 작품 목록(Mendelssohn-Werkverzeichnis, MWV)도 포함된다.[25] 멘델스존의 작품은 더욱 심도 있게 연구되었다. 멘델스존의 출판된 작품 거의 모두에 대한 녹음이 현재 이용 가능하며, 그의 작품은 콘서트홀과 방송에서 자주 연주된다.[26] R. 래리 토드(R. Larry Todd)는 2007년 멘델스존 탄생 200주년을 앞두고 "지난 수십 년 동안 작곡가의 음악이 활발하게 부활하고 있다"는 점과 "음악가와 학자들이 이 역설적으로 친숙하면서도 낯선 유럽 고전 작곡가에게 돌아가 새로운 관점에서 그를 보기 시작하면서 그의 이미지가 크게 재평가되었다"고 언급했다.
4. 2. 부정적 평가와 논란
멘델스존은 당대와 후대에 걸쳐 다양한 평가를 받았다. 그의 보수적인 음악 성향은 엑토르 베를리오즈, 프란츠 리스트 등 동시대 음악가들 사이에서 그의 음악에 대한 비판적인 태도를 낳았다. 하인리히 하이네는 멘델스존의 작품에 대해 "순진함이 결여"되어 있다고 지적했다.[90]리하르트 바그너는 멘델스존의 성공, 인기, 그리고 유대인 출신이라는 점을 들어 그의 음악을 비판했다. 그는 멘델스존 사후 3년 뒤 발표한 반유대인 소책자 ''음악 속의 유대교''에서 멘델스존을 폄하했다.[15]
프리드리히 니체는 멘델스존을 "사랑스러운 사건"으로 묘사하며 그의 음악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지만, 일부 독자들은 이를 비꼬는 표현으로 해석하기도 했다.[16]
나치 정권은 멘델스존의 유대인 혈통을 이유로 그의 작품 연주와 출판을 금지하고, 심지어 ''한여름 밤의 꿈'' 부수 음악을 다시 작곡하도록 강요했다.[17] 나치 치하에서 멘델스존은 "음악사의 위험한 '사고'"로 묘사되었고, 19세기 독일 음악을 '퇴폐적'으로 만든 장본인으로 여겨졌다.[18]
19세기 영국에서는 멘델스존에 대한 긍정적인 평가가 주를 이루었다. 알베르트 공은 멘델스존을 "진정한 예술에 충실할 수 있었던 고귀한 예술가"라고 칭송했다.[19] 빅토리아 여왕은 크리스털 팰리스 재건 시 멘델스존의 동상을 포함시키도록 요청했다. 멘델스존의 "결혼 행진곡"은 여전히 결혼식에서 인기 있는 곡이다.[78]
20세기 초, 조지 버나드 쇼를 비롯한 많은 비평가들은 멘델스존의 음악을 빅토리아 시대 문화와 연관시켜 비판했다. 1950년대 학자 윌프리드 멜러스는 멘델스존의 "허위 종교성"을 비판하기도 했다. 반면, 페루치오 부소니는 멘델스존을 "모차르트의 계승자"이자 "명백한 위대함의 거장"으로 칭송했다.[20]
4. 3. 현대적 평가
20세기 중반 이후 멘델스존의 작품에 대한 평가는 여러 전기를 통해 그의 업적을 맥락 속에서 재조명하면서 발전해 왔다.[22] 머서-테일러(Mercer-Taylor)는 멘델스존 음악에 대한 광범위한 재평가가 부분적으로 "음악 정전(canon)이라는 개념의 일반적인 붕괴"로 가능해졌다는 역설에 주목하는데, 멘델스존은 "지휘자, 피아니스트, 학자로서" 그 개념을 확립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고 평가했다. 비평가 H. L. 멘켄(Mencken)은 멘델스존이 진정한 위대함을 놓쳤다면 "간발의 차이"로 놓쳤다고 결론지었다.[23]찰스 로젠(Charles Rosen)은 1995년 저서 ''낭만주의 세대(The Romantic Generation)''에서 멘델스존에 관한 장에서 칭찬과 비판을 함께 제기했다. 그는 멘델스존을 "서양 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신동"이라고 부르며, 16세의 그의 기량은 19세의 모차르트나 쇼팽을 능가했고, 어린 시절부터 "그의 세대 어떤 작곡가도 따라올 수 없는 대규모 구조의 통제력"을 지녔으며 베토벤을 "심오하게" 이해하는 "천재"였다고 평가했다. 로젠은 멘델스존이 후년에 그의 기량이나 천재성을 잃지 않고도 "대담성을 포기했다"고 믿었지만, 비교적 늦게 작곡된 바이올린 협주곡 E 단조를 "고전 협주곡 전통과 낭만주의적인 비르투오조 형식의 가장 성공적인 종합"이라고 불렀다. 로젠은 "E 단조 푸가"(후에 멘델스존의 피아노 작품 35번에 포함됨)를 "걸작"이라고 여겼지만, 같은 문단에서 멘델스존을 "음악에서 종교적 키치(kitsch)의 창시자"라고 불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멘델스존의 오라토리오에서 "종교와 음악의 결합"이 지닌 극적인 힘이 메이어베어와 베르디의 오페라와 바그너의 ''파르지팔''에서 다음 50년 동안의 음악 전반에 반영되는 방식을 지적했다.
1960년대에도 멘델스존의 750곡이 넘는 작품 중 상당 부분이 여전히 출판되지 않았지만, 이제는 대부분의 작품을 이용할 수 있다.[24] 멘델스존의 모든 작품과 서신에 대한 학술적인 판본이 준비 중이지만 완성까지는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며 150권이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기에는 그의 작품에 대한 현대적이고 철저히 연구된 목록인 멘델스존 작품 목록(Mendelssohn-Werkverzeichnis, MWV)도 포함된다.[25] 멘델스존의 작품은 더욱 심도 있게 연구되었다. 멘델스존의 출판된 작품 거의 모두에 대한 녹음이 현재 이용 가능하며, 그의 작품은 콘서트홀과 방송에서 자주 연주된다.[26] R. 래리 토드(R. Larry Todd)는 2007년 멘델스존 탄생 200주년을 앞두고 "지난 수십 년 동안 작곡가의 음악이 활발하게 부활하고 있다"는 점과 "음악가와 학자들이 이 역설적으로 친숙하면서도 낯선 유럽 고전 작곡가에게 돌아가 새로운 관점에서 그를 보기 시작하면서 그의 이미지가 크게 재평가되었다"고 언급했다.
그의 일생은 작곡과 연주의 연속이었다. 그는 슈베르트와 같은 생활의 고통 없이 비상한 재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었는데, 그것이 작품에 나타나 명쾌하고 아름다운 음악이 되었다. 그는 색채적이며 우아한 낭만적인 작품을 많이 남겼는데,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은 베토벤, 브람스의 곡과 함께 3대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손꼽힌다. 그의 유명한 작품은 바흐의 고전 음악 연구에서 배워 얻은 바가 많고, 바흐를 세상에 소개한 공적은 실로 크다. 그는 낭만파의 선구자로, 신고전파의 길을 지시한 것으로서, 음악 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90]
멘델스존의 죽음은 갑작스러운 일이었기에 독일과 영국 양국에서 그를 애도하는 목소리가 들렸다. 그러나 당대에 활동한 동료들과는 달리 보수적인 태도를 취했던 탓에 그의 음악은 낮춰 보는 시선으로 바라보였다. 멘델스존과 베를리오즈, 리스트 등 다른 음악가들과의 관계는 답답하고 단순하지 않았다.
바그너는 멘델스존의 성공과 인기, 유대인 출신이라는 사실에 격분했고, 그의 사후 3년 후 반유대 논문 「음악에서의 유대성」에서 그를 혹평하며 공격했다.
니체도 또한 멘델스존은 독일 음악에서 “사랑스러운 간주곡”, 즉 베토벤과 바그너의 막간이라는 논평을 남겼다.[73]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나치 체제와 그 음악 기관인 제국음악원이 멘델스존이 유대인 출신이라는 이유로 그의 음악 연주를 금지하고, 작곡가들에게는 부수 음악 「한여름 밤의 꿈」을 고쳐 쓰도록 권장했다.[74] 나치 통치하에서는 “멘델스존은 음악사에서 위험한 ‘사고’로 등장한 것으로, 그가 결정적으로 19세기 독일 음악을 ‘퇴폐적’으로 만든 장본인이다”라고 했다.[75] 라이프치히 음악원에서 지급되던 독일판 멘델스존 장학금은 1934년에 중단되었다가 1963년에 재개되었다. 1892년, 라이프치히에 멘델스존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지만, 나치에 의해 1936년에 철거되었다. 대체 동상이 2008년에 세워졌다.[76]
멘델스존의 영국에서의 평가는 19세기 내내 높았다. 1854년에 크리스털 궁전이 재건되었을 때, 빅토리아 여왕이 멘델스존의 조상을 추가하도록 명령했다. 1858년 빅토리아 여왕의 딸, 빅토리아 황후와 독일 황제 프리드리히 3세의 결혼식에서는 멘델스존의 「한여름 밤의 꿈」 중 「결혼행진곡」이 연주되었고, 오늘날에도 결혼식에서 인기 있는 곡이 되었다. 잉글랜드 국교회에서는 멘델스존이 남긴 종교적 합창곡, 특히 소규모 작품이 합창 전통 속에서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버나드 쇼를 비롯한 많은 비평가들이 멘델스존의 음악을 빅토리아 시대의 문화적 고립과 연결 지어 비판했다.
5. 한국과의 관계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펠릭스 멘델스존과 한국과의 관계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해당 섹션에는 관련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Geschichte der Hochschule
https://www.hmt-leip[...]
2019-01-26
[2]
웹사이트
Kennedy Center notes
https://web.archive.[...]
Kennedy-center.org
2011-02-17
[3]
서적
Die Mitglieder des Ordens. 1 1842–1881.
https://web.archive.[...]
Gebr. Mann Verlag
1975
[4]
웹사이트
The Journey North
http://www.mendelsso[...]
2015-01-09
[5]
웹사이트
Mendelssohn, Felix (1809–1847)
http://www.english-h[...]
English Heritage
2017-12-16
[6]
논문
Felix Mendelssohn Bartholdy (1809–1847): the mystery of his early death
https://www.ncbi.nlm[...]
2018-03-01
[7]
웹사이트
Visual Artwork by Felix Mendelssohn
http://www.themendel[...]
2017-12-03
[8]
웹사이트
The Mendelssohn Papers
http://www.bodley.ox[...]
2017-12-03
[9]
뉴스
Conspiracy of Silence: Could the Release of Secret Documents Shatter Felix Mendelssohn's Reputation?
http://jessicaduchen[...]
The Independent
2014-08-04
[10]
서적
2001
[11]
웹사이트
Mendelssohn takes top spot as greatest child prodigy of all time. But where's Mozart?
http://www.bbc.co.uk[...]
BBC
2019-02-02
[12]
서적
2001
[13]
웹사이트
Psalm 42
https://www.carus-ve[...]
2017-12-03
[14]
웹사이트
Mendelssohn kehrt zurück Rekonstruiertes Denkmal am Dittrichring
https://www.leipzig.[...]
City of Leipzig
2017-12-20
[15]
웹사이트
Music and the Holocaust: Carl Orff
http://holocaustmusi[...]
World ORT
2017-12-03
[16]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09
[17]
웹사이트
Felix Mendelssohn Bartholdy – The Jewish Question
http://www.classicfm[...]
Classic FM
2017-12-20
[18]
웹사이트
Mendelssohn's statue returns to Düsseldorf
https://web.archive.[...]
Classical-music.com (BBC Music Magazine)
2017-12-20
[19]
서적
Charles Auchester
https://archive.org/[...]
A.C. McClurg and Co.
1891
[20]
음반
Songs without Words
Angel
[21]
서적
1962
[22]
서적
2003
[23]
서적
2001
[24]
웹사이트
List of Mendelssohn's Works
https://web.archive.[...]
2017-12-17
[25]
웹사이트
Official site of the Leipzig Edition of Mendelssohn
http://www.saw-leipz[...]
2017-12-16
[26]
웹사이트
top 300
https://web.archive.[...]
2017-12-16
[27]
해설
[28]
해설
[29]
해설
[30]
해설
[31]
간행물
The Classic Collection 제12호
DEAGOSTINI
[32]
해설
[33]
편지
1829-07-08
[34]
웹사이트
http://www.biography[...]
[35]
해설
[36]
웹사이트
Kennedy Center notes
http://www.kennedy-c[...]
[37]
간행물
Overture §3
[38]
간행물
Mendelssohn, Felix §2
[39]
서적
大作曲家の信仰と音楽
教文館
[40]
간행물
Mendelssohn, Felix §3
[41]
간행물
Mendelssohn, Felix §4
[42]
간행물
§4
[43]
서적
Letter to Rebecka Mendelssohn Bartholdy (Soden, 22 July 1844)
1884
[44]
서적
2009
[45]
웹사이트
Birmingham Triennial Music Festival
[46]
서적
2009
[47]
간행물
Allgemeine musikalische Zeitung: Prototype of Contemporary Musical Journalism
http://www.jstor.org[...]
1948
[48]
간행물
Mendelssohn, Felix §4
[49]
간행물
Schumann, Robert §7
[50]
서적
1955
[51]
웹사이트
Paulinerkirche
[52]
웹사이트
Kreuzberg
[53]
웹사이트
Holy Trinity Church
[54]
웹사이트
Visual Artwork by Felix Mendelssohn
http://www.themendel[...]
[55]
기타
멘델스존이 서거할 때까지 거주하고 있던 집을 개축한 것
[56]
기타
[57]
서적
1955
[58]
간행물
The Musical Quarterly
1998
[59]
웹사이트
Moses Isserles
[60]
기타
[61]
웹사이트
Eduard Magnus
[62]
웹사이트
The Mendelssohn Papers
http://www.bodley.ox[...]
2010-12-21
[63]
웹사이트
Mendelssohn Scholarship
[64]
뉴스
Conspiracy of Silence: Could the Release of Secret Documents Shatter Felix Mendelssohn's Reputation?
http://www.independe[...]
2009-01-12
[65]
웹사이트
Protecting the Good Name of Mendelssohn
http://www.iconsofeu[...]
[66]
웹사이트
Mendelssohn's 200th Birthday
http://performanceto[...]
2009-02-03
[67]
웹사이트
Henry Fothergill Chorley
[68]
간행물
Mendelssohn, Felix §2
[69]
기타
[70]
서적
Mendelssohn and His World
https://www.perlego.[...]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
[71]
웹사이트
Deutscher und Schausp
https://archive.org/[...]
null
null
[72]
웹사이트
null
null
null
null
[73]
간행물
Mendelssohn, Felix
null
Grove Music Online
null
[74]
웹사이트
Carl Orff
http://holocaustmusi[...]
null
null
[75]
웹사이트
null
http://www.mlgk.de/v[...]
null
2012-04-02
[76]
웹사이트
The Mendelssohn Monument
http://www.mendelsso[...]
null
2013-04-07
[77]
웹사이트
The Mendelssohn Monument
http://www.mendelsso[...]
null
2013-04-07
[78]
웹사이트
Charles Auchste
https://archive.org/[...]
null
null
[79]
웹사이트
null
null
null
null
[80]
웹사이트
null
null
null
null
[81]
웹사이트
null
null
null
null
[82]
서적
null
null
Barenboim
1962
[83]
논문
null
null
null
null
[84]
웹사이트
Mendelssohn Foundation website, 'Catalogue of Mendelssohn's Works
http://www.mendelsso[...]
null
2010-01-22
[85]
웹사이트
라이프치히 판
http://www.saw-leipz[...]
null
null
[86]
웹사이트
Viewing Mendelssohn, Viewing Elijah
http://jewishstudies[...]
null
2009
[87]
웹사이트
null
null
null
null
[88]
논문
null
null
Todd
null
[89]
웹사이트
(3954) Mendelssohn = 1984 FE = 1987 HU
https://minorplanetc[...]
null
2021-09-23
[90]
백과사전
null
null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null
[91]
서적
Mendelssohn and His World
https://www.perlego.[...]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2
[92]
웹사이트
Deutscher und Schausp
https://archive.org/[...]
null
nul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